속리산 천황봉 일제의 잔재인가
대동여지도 천왕봉으로 표기, 개명 논란 지속될듯
2000-08-26 보은신문
또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보면 속리산 정상의 이름은 분명히 천왕봉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아무 거리낌 없이 천황봉으로 잘못 사용해 오고 있다” 고 덧붙였다. 현재 천황봉에 대한 지명 표기가 수록된 문헌으로는 1970년대 발행한 보은군지와 새롭게 편찬한 보은군지등 최근래의 문헌에는 천황봉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를 비롯 동국여지지등 옛 문헌에는 천왕봉으로 기록돼 있다. 또 최근 청주대 김영진 교수가 펴낸 『속리산 산신제』에 대한 문헌역시 천황봉은 「동국 명산기」에 `천왕봉' 이라 하였고 조식의 시나 허훈의 시에서도 모두 천왕봉이라고 하였다며 지금의 찬황봉은 천왕봉에서 변한 것이 분명하다며 속리산 천왕봉은 산신이 있는 봉우리 라는 뜻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대해 군의 관계자는 “일부 옛 문헌에 천왕봉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천황봉으로 개명된 사실이 일제당시 민족 문화를 말살하기 위한 의도였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며 “해당 기관의 전문적인 확인작업을 진행해 정확한 지명을 조사하고 있다” 고 말하고 있다. 한편 해마다 속리산의 주봉인 천황봉을 대상으로 산신제를 거행하고 있어 천황봉의 지명 역시 중요성을 띄고 있는 만큼 정확한 지명 표기를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