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과 관찰력은 발명의 원동력
삼산초 발명교실, 학부모발명교실 운영
지난 21일 삼산초(교장 윤대영) 발명창의실에서 군내 학부모 20여명을 대상으로 발명교육의 활성화와 발명의식 저변확대를 위해 학부모 발명교실이 열렸다.
오전 9시부터 2시간동안 김미숙 삼산초 발명교실 담당교사가 학부모를 대상으로 ‘발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김 교사는 “미래사회에 자기 주도적으로 살 수 있는 능력은 창의성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데, 발명교육이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의 열쇠가 될 수 있다”며 발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여러 발명품 사례를 제시하면서 “세계적인 발명가인 아인슈타인도 초등학교 1학년 때까지 열등아 소리를 들었다.
호기심과 관찰력이 발명의 큰 원동력이 되므로 지금 아이들의 능력을 단정 짓지 말고 잠재된 능력과 소질을 발명교육을 통해 계발할 수 있다” 며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발명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지도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학부모들이 오후 6시까지 점심 먹는 것도 잊고 목공예 체험활동을 했다.
공작기계 및 목공 도구 사용법을 익혀 자신이 만들고 싶은 찻상을 디자인하여 직접 톱질을 하여 제작하는 과정이었다.
학부모들은 톱질·망치질도 서툴고 기계 사포질은 겁도 났지만, 자신들이 필요한 기타 악보대, 책상, 찻상, 독서대 등 다양한 목공예품을 제작해 가면서 직접 제작하는 즐거움을 느꼈다.
탄부초에서 온 학부모는 “제가 이렇게 열정적으로 할 줄 몰랐어요? 오늘 완전히 횡재한 기분이예요”라며 즐거움을 감추지 못했고, 동광초에서 온 학부모는 “제가 만든 이 책상을 평생 쓸 거예요. 가보로 물려줄 생각이다”면서 웃음을 지었다.
또한 삼산초에 온 학부모는 “우리 아이들에게 줄 책상이다. 아이들이 정말 좋아할 거예요”며 책상을 정성으로 만드는 모습이었다.
모두들 이구동성으로 다음에는 가족들 모두 함께하는 발명목공체험활동을 준비해 달라는 요청까지 할 정도로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완성된 작품에는 인두로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나 서명, 그림, 글을 남겨 오래동안 기억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