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2007-06-22 보은신문
벼는 잎도열병 발생상습지나 웃자란논, 추청벼 등 병에 약한 품종을 심은 논과 비료를 많이 준 논에서 장마의 영향으로 잎도열병이 확산할 우려가 있어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피해가 예상된다.
보은군은 6월 22일부터 6월 30일까지를 벼 잎도열병 공동방제 기간으로 설정하고 1억5천만원(보조 50%, 자담 50%)을 지원 2,500ha에 농약을 지원하고 공동방제토록 하고 있다.
벼물바구미는 방제를 하지 못한 논에 애벌레가 벼뿌리를 갉아먹는 피해를 주며 먹노린재는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이 이동 최성기로 6월 하순 이화명충과 동시에 농약을 방제해야 한다.
중간 물 떼기 전까지는 물 걸러 대기를 실시해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해 뿌리 활력을 조장하고 이삭패기 35-45일 전에 도복방지 차원에서 철저한 물 떼기를 해야 한다.
제초제 후기방제 약제로는 유효분얼 종지기부터 유수형성기 전 밧사그란, 정일품, 이사디아민염, 수중이사디 등을 살포해 잡초를 방제한다.
◆ 옥수수 및 채소
옥수수 웃거름은 본엽 6-7매 시와 9-10매 시 2회에 걸쳐 10a(300평)당 10kg을 살포한다.
고추 2차 웃거름은 1차 후 25일경에 요소 6-8kg을 시용하고 장마철 대비 배수구 사전 정비와 역병, 탄저병, 담배나방, 균핵병, 잿빛곰팡이병, 세균성반점병, 차먼지 응애 등을 방제해야 한다.
시설채소는 아메리카잎굴파리, 꽃노랑총체벌레, 흰가루병, 오이노균병을 양배추, 배추, 수박은 배추파밤나방, 배추 벼룩잎벌레, 수박만고병, 달팽이 등을 방제한다.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은 소 아까바네병, 유행열, 돼지 일본 뇌염, 닭 뉴캐슬병 등이 있으며 모기 발생 전 예방접종을 하고 축사 내외 정기소독과 청결유지, 웅덩이 모기발생 근원지 제거, 축사 방충망설치, 모기퇴치 전등을 설치한다.
담근 먹이 용 옥수수는 7-8 엽기 초장 40cm일 때 요소 10a당 21kg을 시용하고 초지 사료작물 포장에 멸강나방을 방제해야 한다.
◆ 과수
과수는 과종별 살균제를 살포 후 봉지 씌우기를 실시하고 주요병해충은 사과 반점낙엽병, 갈색무늬병, 탄저병, 부패병과 응애류, 잎말이나방,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등 벌레류를 방제한다.
배는 흑성병, 겹무늬병, 흑반병과 사과에 생기는 벌레류와 꼬마배나무이 등을 복숭아는 세균성구멍병, 잿빛무늬병, 탄저병, 검은점무늬병 등을 방제한다.
갈색 여치는 인근야산 참나무가 많은 곳이 심하며 잡식성으로 과수뿐만 아니라 일반 광엽식물 등 전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방제 요령은 파프(엘산)유제, 텔타네트(프라치오카브)유제가 효과적이며 특히 파프와 텔타린을 추천량의 반씩을 섞어 살포하면 살충 효과가 아주 높다.
약제는 한낮보다 저녁나절에 살포하면 효과가 높고 방제시 과원 인근 산림에도 방제해야 한다.
대추는 개화기에 잿빛곰팡이병, 역병, 진딧물, 응애, 잎말이나방류를 방제하고 감은 1차 낙화 후 10-15일경 종합살균제와 살충제를 살포한다.
인삼은 점무늬병, 탄저병, 뿌리썩음병, 땅강아지, 달팽이류, 깍지벌레 등 발병시 전용약제를 10일 간격으로 살포해야 한다.
문의 보은군농업기술센터 식량작물담당 540-3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