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시 꿀 올해도 흉년
예년의 20% 채밀에 그쳐 양봉농가 울상
2007-06-08 보은신문
이와 함께 아카시꽃이 개화하는 시기에 내린 잦은 비로 꿀을 따는 시간이 부족했던 점도 생산량 감소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이른봄 아카시 꽃 꿀을 따기 위해 전남 진도까지 내려가 구미, 칠곡을 거쳐 강원도까지 올라갔던 양봉업자들이 채집한 아카시 꿀은 예년의 20%정도에 그치지 등 전체 꿀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아카시 꿀의 흉작으로 인해 소득 없이 빈 벌통만 바라보고 있을 뿐이다.
양봉 전업농들은 보통 4, 500군 벌을 쳐 보통 50드럼의 꿀을 생산하는데 올해는 10드럼 정도 꿀을 따는데 그친 것이다. 도매가로 판매할 경우 2100만원 밖에 안되는 금액이다. 이는 4, 500군의 벌을 친다고 할 때 아카시 개화기를 따라 장소 이동에 약 700만원이 소요되고 1월부터 8월까지 고용하는 기사 인건비 3천만원, 사료값 1천600만원, 자재대 2천만원 등 7천만원 이상이 생산비로 소요되는 것으로 볼 때 양봉농가들은 올해도 헛농사를 지은 것이다.
양봉농가들은 생활비는 고사하고 올해 갚아야할 출하 선도자금, 그동안 꽃을 찾아 전국을 다니느라 소요된 각종 경비뿐만 아니라 기타 내년 봄 작기 꿀을 채취하는 동안 벌에게 줄 양식을 구입하지 못해 이중삼중의 고통을 겪을 수 있다. 양봉농가들은 올해는 개화기 비가 오지 않고 꽃도 잘 펴 꿀을 조금 타겠구나 생각했는데 기온 때문에 올해도 역시 시원치 않아 꿀을 칠 마음이 생기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한편 양봉농가는 2005년말 463호에서 2만7천51군을 사육했으나 지난해말 265호로 200농가 정도 감소했으며 양봉도 2만2천36군으로 크게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