볍씨로 전염되는 병해충 제로화
종자선택, 염수선, 종자소독은 필수
2006-03-31 보은신문
볍씨 소독을 위해서는 먼저 병에 걸리지 않은 충실한 종자를 확보하고 소금물가리기(염수선)는 물 20ℓ에 소금 4.5㎏을 넣어 잘 저은 후 충실한 종자를 건져서 종자 소독약인 살균제와 살충제를 혼용하여 볍씨 소독을 해야 하며, 보급종도 스포탁(프로라츠유제)과 살충제인 스미치온, 다이아톤, 리바이짓드 중 1가지 약제에 24시간 소독을 실시한다.
스포탁(프로라츠유제)은 물 20ℓ 1말에 소독약 10㎖를 살충제는 20㎖를 혼합한 약액에 볍씨 10㎏을 담궈 24시간 소독해 맑은 물로 씻은 후에 침종해야 하며 볍씨 담그기 온도는 가급적 15℃에서 7일간 실시하여야 한다.
키다리병은 소독약액 온도를 30∼35℃로 유지하면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세균성벼알마름병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소금물 가리기를 철저히 하고 흑점미(검은쌀)를 발생시키는 벼잎선충은 살충제 소독으로 막을 수 있다.
삭 틔우기는 30∼32℃에서 2일정도 실시하여 싹이 1-2㎜ 되었을 때 파종을 실시라고 못자리 설치시기로 중묘는 4월10일부터 5월5일이 어린모는 5월5일부터 5월15일이 적당한 시기로 알맞은 양과 균일한 파종으로 건묘를 육성해야 한다.
마른못자리는 논이 마른 상태에서 묘판을 설치하고 치상 후 물을 대주는 방법으로 육묘 노력은 관행보다 49% 절감되나 정지작업을 잘하고 상저가 밀착되어야 관리가 용이하나 정지작업 불량 시 발아가 균일하게 안되며 물관리가 어렵다.
부직포 못자리는 활죽과 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만 씌워 육묘하는 방법으로 육묘 노력은 관행보다 28% 절감되나 비닐보다 보온효과가 떨어져 조기 파종 시 저온피해를 받게 되고 평면으로 설치하므로 침관수시 발아 불량 등 피해가 우려된다. 중산간지는 일교차가 크고 야간저온 등 냉해가 우려되므로 설치를 지양하고 평야지는 4월20일 이후 못자리 설치를 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