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제 대비 여가정책기구 설치

문화관광부, 지자체별 담당관 지정 시설 단계적 확충

2004-07-10     송진선
주5일제 단계적 시행에 발맞춰 여가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가 여가정책 담당기구를 설치하기로 했다. 또 지방자치단체들에는 지역주민의 여가생활을 종합지원하는 여가담당관이 지정될 전망이다.

문화관광부는 13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주40시간 근무제 대비 여가문화 활성화대책’을 7일 발표했다.

대책안에 따르면 정부는 주5일제 실시로 집주변 등 생활권 안에서의 여가수요 충족을 위해 지역별 ‘여가시설 최소기준’을 마련, 걸어서 15분 안에 갈 수 있는 곳에 여가인프라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올해 75억원을 들여 소규모 생활도서관 45곳과 복합문화공간 15곳을 서민밀집지역에 시범 조성할 계획이다.

또 기존 여가시설을 다목적 여가공간으로 조성하고 파출소, 마을회관 등 유휴공간을 리모델링, 소규모 여가시설 모델을 개발, 보급한다.

이밖에 주말에 사용하지 않는 공공기관, 각급 학교시설 및 기업시설 개방을 유도, 지역주민의 여가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주말 여행수요 충족을 위해 올해 30억원, 내년 190억원을 투입, 다목적 캠핑장과 유스호스텔 설치 지원 및 민박·가족호텔·유스호스텔 시설개선, 자연체험형 펜션 육성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농어촌 소득을 높이고 도-농간 연계를 높이기 위해 2013년까지 녹색농촌체험마을 1000여곳을 조성하고 2007년까지 어촌체험마을을 60여개 조성하는 한편, 산림휴양공간을 2007년까지 334곳을 확충하고 전국 73개 자연공원에 야영장, 오토캠핑장, 통나무집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또 가족중심의 여가활동이 크게 늘 것에 대비, 국악, 연극, 무용 등 다양한 공연과 전시회, 문화·체육활동, 여행, 자원봉사 프로그램 등 주말 당일 또는 1박2일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는 한편, 여가와 가사를 공유할 수 있는 ‘평등가족실천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가족들의 여가를 기획·관리할 수 있도록 ‘주부대상 여가교실’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의 여가격차를 줄이기 위해 문화소외지역을 찾아가는 ‘전국순회 문화사업단’(올해 100여개 단체)을 구성, 운영하는 한편, 내년부터 국립문화기관을 통해 도시저소득층·근로자·노인·장애인을 대상으로 ‘모셔오는 문화프로그램’을 시범 실시한다.

중소기업 근로자와 저소득층의 여가활동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중소기업 근로자 자기계발 수강지원금 지원대상을 300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하는 한편, 콘도보유구좌를 지속 확대, 근로자들이 저렴하게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여가문화 활성화 대책안 마련을 위해 문화관광부를 비롯,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행정자치부, 농림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노동부 등 13개 부처 공동으로 대책기구를 마련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