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류 사육농 방역 비상
2003-12-20 송진선
또 가금류 사육농가에 농장 출입구에 대한 차단 방역, 병아리 입식 자제를 홍보하는 등 대책마련에 분주하며 도비와 군비 1100만원을 투입, 추가 방약 약제를 확보에 나섰다. 가금 인플루엔자는 닭, 칠면조 및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에서부터 치사율이 100%인 고병원까지 다양하며 고병원성 가금 인플루엔자는 국내에서 제 1종 법정 전염병, OIE(국제수역사무국)에서 List A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주로 비말 및 공기, 물에 의해 전파되나 주요 전파원인은 오염된 분변으로 사람의 발, 사료차, 기구, 장비 등에 분변이 묻어 간접적으로 전파되며 닭고기나 오리고기 등 가금육에 의해 전파될 확률은 매우 낮다. 고병원성 가금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경우 80%이상이 폐사하고 벼슬의 청색증과 얼굴의 부종이 나타난다.
악병원성 가금 인플루엔자의 경우에는 다양한 폐사율과 함께 산란율의 급격한 하락 및 호흡기 증상과 소화기 증상을 동반한다. 한편 군내 가금류 사육현황은 닭은 180농가가 98만3034마리, 오리는 52농가가 1236마리, 칠면조는 12농가가 86마리를 사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