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특별위원회 국회 부결 관련

지역 정치인 대응 민첩 

2003-11-29     송진선
지난 21일 국회 본회의에서 신행정수도 특별위원회 구성안이 부결된 것과 관련해 충청권에서 책임 공방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정치인들이 입지를 세우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심규철 한나라당 국회의원은 지난 23일 충북도지부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노무현 대통령이 행정수도를 충청권에 건설하겠다는 말만 던져놓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그는 성명서 청와대가 충청지역의 여론을 듣겠다며 구성한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기획단의 자문위원 47명 중 12명이 열린 우리당 당원이라며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은 더 이상 신행정수도건설 문제를 선거와 연계시키려는 정략적인 발상을 버리고 충청도민과 충청권의 발전을 위한 노력에 동참 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심의원은 한나라당 충청권 소속의원과 단체장의 탈당을 촉구한 신행정수도충북범도민협의회에 대해 “열린 우리당의 호위병처럼 해서는 안된다”고 표현했다가 취소했으나 신행정수도범도민협의회로부터 공개 사과를 요구받는 등 진통을 겪었다.

김서용 열린우리당 전국청년위원회 위원장도 27일부터 자신의 사무실인 옥천읍 향군회관 2층 신행정수도연구소에서 최병렬 대표가 특검법 문제로 단식에 돌입하면서 신행정수도특별법의 국회통과가 불투명해지고 있다며 단식에 돌입했다.

김위원장은 성명서에서 신행정수도 건설은 21세기 핵심 국가전략의 일환으로 우리의 미래와 직결되어 있는 특정지역의 문제가 아닌 국가 아젠다라며 국민의 대표자인 국회의원은 국민의 뜻을 충실히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한나라당 의원들의 등원거부를 중지하고 국회정상화로 특별법을 이번 회기안에 처리해야 한다면서 당지도부가 결정하기 어렵다면 의원총회를 통해서라도 한나라당의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충청권 한나라당 의원들에게도 충청도 민심을 거역하는 장외투쟁에 맹목적으로 추종하지 말고 당지도부를 설득, 신행정수도특별법 등 지방살리기 3대 입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