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살겠다 이주대책 세워라”
내북면 화전리 주민, 9월30일 결의대회 개최
2003-10-04 곽주희
이날 (주)한화 보은공장 앞 도로에서 개최된 결의대회에는 화전리 주민 및 법주리 주민 100여명과 (주)한화 보은공장 추방 범군민 대책위 김인수 상임위원장을 비롯, 임원들도 참석해 주민들과 뜻을 같이 했다.
‘못살겠다 화전주민 이주대책 책임져라’, ‘니가 나가든지 내가 나가든지’, ‘더 이상 불안해서 못살겠다’ 등 피켓과 플래카드를 든 주민들은 “지난 91년 화약류를 생산하는 (주)한화 보은공장이 들어선 뒤 97년과 98년 두 차례 폭발사고와 잇따른 시험발파로 극심한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며 “조상대대로 살아온 정든 고향을 따나려는 마음 오죽 했겠느냐? 불안과 고통에서 벗어나 생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안전한 지역으로 집단 이주시켜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화전리 대책위는 “주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대안 없이는 (주)한화 인천공장의 보은 이전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한화는 현재있는 공장도 이주하라 △한화는 주민에게 준 정신적 고통의 댓가를 생각하고 주민에게 사죄하라 △한화는 주민에게 불안과 고통을 주지말고 화전리 주민 이주를 시행하라 △인천공장 이전은 결사반대한다. 이주대책을 세워라 등 등 4개항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어 화전리 주민대책위 황규택 위원장과 이대희 총무 등 6명과 군 범대위 김인수 상임위원장, 이종환 공동위원장이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공장으로 들어갔으나 한화 관계자와 주민 대표간 내북면 발전위원회와 합의서 공증한 부분에 대해 이견을 보이는 등 장시간 동안 공장장이 나타나지 않자 주민들은 무시하는 처사라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이후 공장장과 면담한 자리에서 주민 대표들은 “내북면 발전위원회와 합의서를 공증한 부분(발전기금 10억원 등 8개 부문과 내북면 주민들은 한화에 대한 어떠한 집회를 개최하거나 집회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단서조항)에 대해서는 별개 문제다. 우리의 요구만 전달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강석조 공장장은 “내북면 발전위와 합의는 내북면 전체와 합의한 것으로 안다”며 “ 오늘 주민들의 결의대회나 결의서 전달은 합의서를 파기하자는 것이나 다름없다. 당장 답변을 하기 어려운 큰 일이니만큼 좀 더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화전리 대책위는 내북면 발전위와 면내 다른 지역과 합의서 공증한 부분에 대해 상호 이해관계로 인해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