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영동과 한선거구 이뤄

당초 예상 뒤엎고 옥천 분구…영동주민 반발

1995-07-22     송진선
제14대까지 한 선거구로 묶어 총선을 치뤘던 보은, 옥천, 영동군이 15대 총선에서는 보은과 영동이 한선거구로 묶이고 옥천군의 분구가 국회를 통과 확정되었다. 당초 보은, 옥천, 영동군중 지리적 여건과 지역적 특성으로 볼때 영동군이 분구될 것으로 예상했으나(본보 제267호 1면 보도) 여야 총무회담을 거친 결과 현재 남부3군중 옥천군이 인구수가 가장 많다는 점을 들어 옥천군을 독립구로 결정한 것이다.(남부3군의 지난 4월말을 기준으로 한 인구 및 6·27지방선거를 기준으로 한 선거인수가 옥천군이 6만4천8백49명이고 선거인수는 4만5천9백98명, 영동군 6만3천8백62명, 선거인수 4만5천5백59명, 보은군은 4만9천1백96명 선거인수는 3만5천6백60명)

그러나 이번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에서 분구될 것으로 예상됐던 영동군이 분구가 되지않자 영동군 주민들이 거세게 항의하고 있다. 이들은 '영동군 단일 선거구 쟁취 비상대책위원회'까지 결성해 국회를 항의 방문하는 등 영동을 분구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고 있다. 이와같이 선거구 분구에 대해 영동 주민들의 원성이 높자 지난 18일 민자당 김윤환 사무총장은 15일 임시국회에서 확정된 옥천과 보은-영동선거구 분리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반대한다면 재검토할 뜻을 밝혔다.

또한 김종필 자민련총재도 이번 보은-영동과 옥천 선거구 조정안에 대해 당무회의를 열어 논란이 되고 있는 옥천과 보은-영동 선거구 문제를 논의, 지리적 요소를 무시하고 옥천을 분리한 것은 문제가 많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민자당과 민주당이 요청해올 경우 적극 협조할 것임을 밝혔다. 따라서 이미 임시국회에서 확정된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안중 특히 보은-영동과 옥천분구에 대해 3당이 재고를 한다는 원칙적인 입장은 밝히고 있으나 여야협상은 물론 각당의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재조정 가능성은 극히 희박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민자당에서는 이번에 조정된 국회의원 선거구를 바탕으로 지역구 위원장을 내정해 총선체제로 돌입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반발이 아무리 거세고 민자당 및 자민련에서 재고할 수 있다고 조정의 여지는 남겨두었으나 이제와서 선거구를 재조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미 임시국회에서 확정한 보은-영동과 옥천분구를 재고해 주민들의 항의를 인정 지리적인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해 원안을 번복 영동을 분구시킬 경우 옥천군 주민들의 항의도 만만치 않을 것이므로 선거구의 재고는 불가능한 것임을 읽을 수 있다.

특히 지난 20일 민자당 보은 당직자 대회에 참석한 보은, 옥천, 영동군 지역구 국회의원인 박준병의원도 지역구의 분구문제에 대해서 "국회에 영동군을 보은군과 묶는 선거구 조정에서 다섯가지 이유를 들어 적극 반대의사를 표시했으나 결국 옥천과 보은-영동선거구로 확정이 되었는데 이는 관행과 상식에서 어긋난 처사"라고 기본적인 입장은 밝혔으며 그러나 "여야가 합의한 사항이고 이미 총선체제로 돌입했다고 볼 수 있는 지금 다시 거론하는 것도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현 보은-영동, 옥천군 선거구의 분리안을 수용할 뜻임을 시사했다.

한편 이번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 보은군민들은 "보은군이 정치인들의 노리개감처럼 자기들 마음대로 옥천에 붙였다 영동에 붙였다하는 것은 보은 군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