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생부 소규모 학교에 불리
계열정원1백명미만 학교는 상위 1% 못내
1996-06-29 보은신문
즉 아무리 문제를 쉽게 내고득점자를 양산하더라도 석차 배분율은 무조건 균등한 숫자로 나눠 전체정원의 1~100%까지 세분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문제를 쉽게 내 고득점자가 많이 나오더라도 실익이 없게된다.
균등석차 백분율을 실제 적용할 경우 계열별 학생수가 2백명인 학교에서 특정과목 점수가 1백점인 학생이 5명 나오면 이중 1%인 2명에게만 석차배분율 1%를 주고 2명은 2% 나머지 1명은 3%를 주게 된다. 동점차 처리기준은 각 학교가 교육부 예시안을 참고해 각자 자율로 정하되 분쟁소지를 없애기 위해 사전에 공도토록 했다.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학생수가 1백명 미만인 학교는 오히려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계열 전체 학생수가 99명이하인 학교는 어떤 과목에서도 석차 백분율을 1%로 받는 학생이 나올 수가 없다. 99명 중 1등을 하면 종전에 소수 섯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소수 둘째 자리까지 표기해 석차 백분율이 1.01%지만 개정방안에 따르면 소수점이하를 부조건 잘라내고 절상해 정수로 나타내기 때문에 이 학생의 석차 배분율은 결국 2%가 된다.
실제로 농어촌 지역 소규모 학교에서 3학년 인문계학생정원이 50명이라면 그중 1등은 2%, 2등은 4% 평가를 받게되고 정원이 25명이라면 1등 4%, 2등 8%로 더욱 격차가 벌어지게 된다. 성적이 우수하더라도 구조적으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교육부는 이같은 문제점을 알고 전국단위로 평가할 수 밖에 없어 현실적으로 어쩔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 성적 산출 방법은 이번 1학기 기말고사부터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