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설공원묘지 "공방"

군·사유림 재조사 - 사업만 늦는 결과 초래

1996-06-08     보은신문
공설공원묘지 조성이 시급하다는 여론에도 불구하고 대상지역 군의원들간 님비로 사업추진이 늦어진다는 비난이 일고있다. 무분별한 묘지조성으로 산림훼손은 물론 임야가 없는 군민들이 이장 할 곳이 없어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는 중론속에 공설공원묘지 조성이 시급하다는데는 인식을 같이하고 있으면서 적지로 꼽히고 있는 해당지역의 군의원들의 이견으로 사업추진이 늦어지고 있다.


군은 지난해부터 관내 공동묘지나 군유지를 조사해 최적지를 압축하고 지난해 12월96본예산에 상정 예산 요구를 했지만 군의회는 본예산심의시 96 추경으로 미뤘었다. 더구나 이번 제1회 추경에 다시 보은군공동묘지조성사업비중 용역비 1억6천만원을 상정했지만 군의회가 토질조사비로 1천6백20만원만 조정하고 나머지는 모두 삭감해버리고 대상지 재조사를 요청했다.

이번에 군은 군유림지역 19개소의 장·단점을 비교해 사업계획을 첨부했지만 군의회는 군유림외에도 사유림까지 재조사해 최적지를 최적지를 한두곳으로 압축하라는 요구를 하고 토질 조사비만 예산을 수립해 용역을 수립하려던 군의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이는 그동안 공설공원묘지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군이군 유림중 최적지를 조사했음에도 다시 사유림까지 확대 조사토록 한 의도는 결국 해당군의원이 임기내에 자기지역에 협오시설을 설립했다는 오명을 남기기 싫어 예산을 적게 수립하는데 큰 작용을 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대해 주민들은 "군의회 의원들이 군전체적인 측면에서 예산이나 사업을 심의하는등 의정활동을 해야함에도 이같이 주민여론만 의식해 편협한 의정활동을 펴는 것은 올바른 의원상이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한편, 이에대해 군관계자는 "타지역에서 묘지에 수해 피해를 입는 문제가 발생한 사례로 보아 토질조사는 필요하다"며 "사유림지역에 읍면의 추천을 받아 민원이 발생치 않는 곳을 다시한번 찾아보겠다"고 밝혔다.